[취재파일] 시알리스 복제약만 157종…복제약이 뭐기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단병비다 작성일21-10-17 17:47 조회590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지난 9월 4일, 글로벌 제약회사 릴리의 발기부전 치료제 '시알리스'의 국내 특허가 만료되었다. 특허 기간은 출원으로부터 20년, 그 기간 동안에는 릴리의 특허가 보호가 된다.하지만, 특허 기간이 끝나는 순간부터는 전쟁이다. 경제성이라는 시장 논리가 적용되는 관문이 열리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시알리스의 매출액은 257억 원, 발기부전 치 비아그라 구입방법 료제 판매 1위를 기록하였다. 어마어마한 시장을 노리고 국내 제약업체 60곳이 뛰어들었다. 제네릭, 이른바 복제약을 만들어 내놓기 시작한 것이다. 업체들이 지금까지 식약처에서 허가 비아그라 구입 사이트 를 받은 약은 무려 157종에 이른다. 시알리스와 똑같은 알약부터, 입 안에서 간편하게 녹여 먹는 필름형까지 출시되었다. 서로 경쟁을 해야 하기에, 작명 전쟁도 벌어졌다. 튀기 위 비아그라 파는곳 해 온갖 이름이 다 등장했다. 센돔, 이팔, 해피롱, 타다포스... 약간은 민망하지만 강렬한(?) 이름까지 있다.이번에 시알리스 특허가 풀린 국가는 멕시코, 브라질, 터키인데, 이 온라인약국 비아그라 3국가에서는 각각 3~4개 복제약이 허가를 받은 것과 비교하면 50배나 많은 숫자이다. 그도 그럴 것이, 3년 전 비아그라의 특허가 끝나면서 나온 복제약이, 출시되자마자 비아그라 온라인약국 비아그라 의 매출을 앞서는 일도 있었기 때문이다.사실 우리 제약업체들은 복제약으로 생존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들어가는 돈 비아그라 구매 은 더 천문학적이다. 최소 3~5천 억, 많게는 1조 원이 들어간다.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는 신약 개발은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게다가 개발 도중 실패라도 하면, 회 비아그라 구입 사이트 사의 운명은 그야말로 구렁텅이 속에 빠져들게 된다. 그러니 이미 기술은 나와 있고, 안전성도 보장된 잘 팔리는 신약을 '베끼는' 게 여러 면에서 좋을 수밖에 없다. 대박이나 쪽박보 비아그라 판매 다, 중간만 가는 게 나은 것이다.복제약이 잘 팔리는 이유는 약의 성분과 효능은 오리지널약과 똑같으면서도, 가격은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알리스의 경우, 시알리스는 용량 비아그라 구입 에 따라 1정에 1만 원이 넘는데, 복제약은 같은 용량도 1천 원대가 있다. 적은 용량은 몇 백원이면 살 수도 있다.가격이 10분의 1이나 차이가 나니, 가격 경쟁력에서는 게임이 비아그라 구매처 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고 시알리스는 가격을 내리지 않는다. 연구 개발에 들어간 '본전'이 있고, 오리지널의 '명예'를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명품' 만을 찾는 환자들이 있으니까.그런데 가장 궁금한 건, 과연 복제약의 효과가 복제약이 똑같을까 이다. 또, 복제약은 먹어도 안전할까, 의심하는 사람도 많다. 일단 제약업계와 식약처의 대답은 '안전하다' 이다. 복제약으로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생물학적동등성시험라는 것을 시행해야 한다. 모든 의약품은 우리 몸에 흡수되면서 약효를 보여준다. 약물이 우리 몸에 흡수되는 속도와 흡수량을 생체이용률이라고 하는데, 이 시험은 복제약이 오리지널약과 흡수 속도와 흡수량, 생체이용률이 같다는 걸 증명하는 것이다.실제로 지원자를 모집해 임상 시험을 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검증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해외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에도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데 까다롭다는 유럽이나 미국을 통과하는 것을 보면, 안전하다는 게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하지만, 일부 환자(특히 암환자)와 의료진의 판단은 조금은 다르다. 대한의사협회는 생동성시험은 최소한의 품질보장을 위해 시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식약처는 생동성시험에서 복제약의 흡수량이 오리지널약과 비교해 80~125%의 범위 안에 들면 허가를 주고 있다.하지만, 이는 '유사한 효과'일 뿐 '동등한 효과'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복제약을 적극 권장하는 건, 가격이 낮기 때문에 건강보험 재정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실제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많은 선진국에서는 복제약 대체조제를 권장한다. 모두 의료 재정에 부담을 덜기 위해서이다. 약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약하고, 국민 건강을 위한 다른 분야에 그 재정을 써준다고 한다면 나쁘다고 볼 수 없다. 다만, 그만큼 복제약에 대한 허가 기준을 엄격히 하고, 허가 이후에도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해야만 한다. 현재 식약처는 의약품에 대해서 생산 회사의 기존 생산 품질 관리 실적에 따라, 1~3년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한다. 명목사의 모니터링에 그치지 않고, 환자가 안심하고 믿을 수 있도록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특히, 식약처는 생동성시험 현장을 불시 방문, 중간과정 모니터링, 실태 전수조사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시 여부는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환자들을 위한다면, 이 모든 걸 공개해야만 한다.아이러니하게도 제약업체들은 복제약으로 돈을 벌어들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끼기만 한다'는 비난을 듣기 싫어 '복제약 생산업체'라는 말을 싫어 한다. 기업이기에 앞서 연구기관이기에 '혁신적'이지 않다는 걸 드러내고 싶지 않은가 보다. 이스라엘의 제약업체 '테바'는 복제약만 만들어 세계적인 업체가 되었지만, 아무도 욕하지 않는다.복제약일지라도 환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약을 만들기 때문이다. 환자들에게는 같은 효능에 저렴한 약이라면, 복제약이든 오리지널약이든 중요하지 않다. 더 나아가 복제약을 만들면서 쌓인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오리지널약의 부작용을 없애고 효능은 더 뛰어난 약을 내놓는다면 더 좋지 않을까. ▶ 특허 끝나자마자 '와르르'…원조 위협하는 복제약
권란 기자(jiin@sbs.co.kr)저작권자 SBS&SBS콘텐츠허브
권란 기자(jiin@sbs.co.kr)저작권자 SBS&SBS콘텐츠허브